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제품의 단점, 밝힐까? 숨길까?: 경제 계층별 윤리 규범과 지각된 경제적 이동성이 중고 시장에서의 윤리적 거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24.11.06
기타 | 마케팅연구 (한국마케팅학회)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중고 제품 거래 시장 규모는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에 한정되어 있어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즉, 구매자는 한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품질, 하자, 사용기간, 합리적인 가격선 등을 추정해야 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한 구매자 피해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중고 제품 거래 플랫폼 입장에서는 판매자들이 중고 제품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유도하여 윤리적 거래가 이뤄지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윤리적 거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 경제 계층별 윤리 규범과 지각된 경제적 이동성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본격적인 가설 검증 이전의 예비조사로 진행된 연구 1에서는 경제적 이동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유층에 대하여 긍정적 태도를 지니고, 부유층의 규범을 따르고자 하는 성향이 강해지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경제 계층별 윤리 규범과 지각된 경제적 이동성의 상호작용이 중고 시장에서의 윤리적 거래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이동성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부유층의 윤리 규범에 따라, 경제적 이동성을 낮게 지각하는 사람들은 중산?서민층의 윤리 규범에 따라 행동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 제품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자들의 윤리적 거래 행동을 증진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재정적 제약이 서비스 실패에 대한 전환 반응에 미치는 영향 | 2024.11.06
기타 | 마케팅연구 (한국마케팅학회)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소비자는 돈을 통해 원하는 바를 획득하고 달성한다. 그러나 돈이라는 희소한 자원의 부족 상태는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일상적인 경험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재정적 제약이 불만족스러운 서비스를 마주한 소비자의 전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재정적 제약을 경험할 때 소비자는 불확실하고 예측할 수 없는 대안을 채택하지 않는 위험 회피 경향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제공자로 전환하려는 반응이 감소하리라 예상한다(H1 및 H2). 그리고 이러한 재정적 제약 효과는 소비자의 내부적인 요소인 통제를 추가로 강화할 때 완화될 것이다(H3 및 H4). 총 2개 실험을 통해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실험1에서는 2(재정적 제약: 통제 vs. 제약) × 2(서비스 성과: 불만족 vs. 만족) 개체 간 요인 설계를 활용하여, 재정적 제약이 서비스 실패에 대한 전환 반응에 미치는 영향(H1)과 그 기저 메커니즘(H2)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 모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안적 설명을 배제하였다. 실험2에서는 2(재정적 제약: 통제 vs. 제약) × 2(통제 강화: 기본 vs. 강화) 개체 간 요인 설계를 활용하여, 통제 강화의 조절적 역할(H3) 및 위험 회피 경향을 통한 조절된 매개 효과(H4)를 검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고객케어’가 불평행동 및 스토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24.11.06
기타 | 마케팅연구 (한국마케팅학회)
본 연구는 서비스 맥락에서 고객케어의 선행요인을 탐색하고 불평행동 및 스토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관계에 작용하는 연령집단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객케어는 제품가치를 넘어 고객의 복지와 행복 증진을 위한 고객지원의 포괄적 맞춤형 서비스로 고객과의 정서적 유대, 공감, 적극적 보호를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고객관리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자주 이용하는 대형마트에서 고객서비스의 경험이 있는 336명의 고객을 연령집단에 의한 할당표본으로 추출하였고 가설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5.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 이미지는 스토어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이고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지각된 고객케어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고객지향과 지각된 진정성은 고객케어 경험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스토어 재방문 의도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고객케어의 경험은 불평행동을 감소하고 스토어 재방문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집단은 지각된 고객케어와 불평행동 그리고 스토어 재방문의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고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제품의 추가 혹은 삭제가 추천 리스트의 정확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 2024.11.06
기타 | 마케팅연구 (한국마케팅학회)
기업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추천 리스트의 품질은 여러 요소에 바탕을 두지만 그 중 제일 중요한 것은 정확도이다. 정확도는 추천 리스트가 사용자의 취향과 얼마나 잘 맞는가를 뜻하는데 이를 사용자 관점에서 평가한 것을 주관적 정확성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추천 리스트를 수정하는 두 개의 방식, 즉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아이템을 추가하느냐 아니면 싫어할 만한 아이템을 제거하느냐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 정확성이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세 개의 실험을 통해 추가보다는 삭제 방식에서 주관적 정확성이 향상됨을 보였다. 이 차이는 삭제 방식으로 수정된 추천 리스트가 정교함 측면에서 더 많이 향상됐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나타난다(실험 1). 또한 정교함 향상 인식의 매개효과는 사용자의 탐색적 소비성향에 따라 조절되는데 탐색적 소비성향이 강한 경우 삭제 방식이 추천 리스트의 정교함 향상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감소되어 매개효과가 줄어든다(실험 2). 마지막으로 추가 대비 삭제 방식에서 높아진 추천 리스트의 주관적 정확성은 구매 의도까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3). 본 연구는 추천 리스트의 정확성 평가에서 과업 프레임(선택 vs. 거부)의 영향을 조명했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챗봇의 귀여움이 추천 서비스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거리와 이기심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2024.11.06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챗봇의 귀여움이 챗봇의 추천 서비스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챗봇의 외형 디자인을 통해 귀여움 수준(높음 vs. 낮음)을 조작하고, 실험을 통해 챗봇이 추천하는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귀여움의 효과와 사회적 거리 와 이기심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챗봇의 귀여움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 단보다 추천 제품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귀여움의 주효과가 챗봇에 대해 느끼는 사회 적 거리와 지각된 챗봇의 이기심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소비자는 지각된 챗봇의 귀여움이 높을수록 챗봇에 대해 사회적으로 가깝게 느끼고, 소비자와 챗봇 간 사 회적 거리가 가까울수록 소비자가 지각하는 챗봇의 이기심 수준이 낮아졌다. 지각된 챗봇의 이 기심 수준이 낮을수록 챗봇이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귀여 움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이론적 함의와 챗봇 디자인에 있어서 참 고할 만한 변인들을 제공했다는 실무적 함의를 담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ived cuteness in chatbots on the persuasive effectiveness of chatbot recommendation services. The cuteness level, categorized as high or low, was experimentally manipulated through the chatbot’s external design.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exposed to highly cute chatbot exhibited a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recommended products compared to those exposed to less cute chatbo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primary effect of cuteness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the social distance perceived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chatbot, and the perceived selfishness of the chatbot. Specifically, as the perceived cuteness of the chatbot increased, consumers felt a closer connection to the chatbot and perceived it as less selfish. Consequently, lower perceived selfishness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purchase intention for the chatbot-recommended products. This study contributes theoretically by elucidat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positive effects of cuteness and offers practical insights for chatbot design considerations.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효과 : 조립 난이도의 조절효과와 통제감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24.11.06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배제에 따른 통제감 인 식과 조립 난이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 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DIY제품의 선호에 미치는 효과가 통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되는지, 이 러한 매개효과가 DIY제품의 조립 난이도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의 참가자들은 사회적 수용 조건의 참가자들보다 DIY제품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더 높 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사회적 배제가 DIY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DIY제품에 대한 통 제감 인식에 의해 매개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조립이 어려운 DIY제품에서는 나타 나지 않고 조립이 쉬운 DIY제품에서만 나타나서 조립 난이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어서 사회적 배제 현상과 DIY제품 소비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중 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social exclusion on DIY product preference by highligh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ssembly difficult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mong individuals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and if this mediation was influenced by the ease or difficulty of product assembly. Finding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under social exclusion conditions exhibited a stronger preference for DIY products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s than those in socially inclusive conditions. This preference was predominantly mediated by their perceived control over the DIY products.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was more pronounced for easy-to-assemble DIY products, emphasizing the crucial moderating role of assembly difficulty. The study concludes by elucid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perceived control, and DIY product preference and offer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전기차 SNS 광고의 메시지와 비주얼 유형이 광고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효과 | 2024.11.06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2010년 후반에 미국의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에서 생산된 전기차들이 국내에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의 전기차 보급률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데, 5년 내에 전체 전기차가 자동차 판매량의 20%~30%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 전망된다. 또한 온라인 판매 위주인 테슬라가 전기차의 판매경로를 디지털로 바꿔놓으면서, 전기차 시장에서 디지털 마케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수많은 자동차 브랜드들이 SNS 채널을 활용하여 다양한 마케팅과 광고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SNS 광고의 메시지와 비주얼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기차 SNS 광고의 메시지와 비주얼 유형이 광고 인게이지먼트와 구입의도 유발에 미 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관계에서 신제품 혁신수용성이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 를 위해 실험물을 만들어 SNS 광고를 본 경험이 있고, 전기차를 보유하고 있거나, 향후 2~3년 내에 구입할 의향이 있는 20대~50대의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경제성 메시지와 감성적 비주얼이 상대적으로 광고 인게이지먼트 유발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신제품 수용성에 따라 광고 인게이지먼트 유발을 위 한 메시지와 비주얼 유형이 달라야 함을 검정할 수 있었고, 메시지와 비주얼에 상관없이 광고 인 게이지먼트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기차 관련 마케팅 연구, 특히 마케 팅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광고의 메시지와 비주얼 방향성을 제시한 초기 논문이라는 점 에서 그 의미가 크고, 전기차가 빠르게 확산되는 시점에 소비자의 혁신수용성에 따른 SNS 광고 방향성을 밝히기 위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기차 SNS 광고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실무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As electric vehicles manufactured by Tesla, a U.S. electric vehicle brand, began to enter Korea in late 2010, the penetration rate of electric vehicles in Korea is increasing, and all electric vehicles are expected to account for 20% to 30% of automobile sales within five years. In addition, as Tesla, which focuses on online sales, has changed the sales channel of electric vehicles to digital, the role of digital marketing in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numerous automobile brands are conducting various marketing and advertising activities using SNS channels, and the messages and visuals of SNS advertisement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 of messages and visual types of SNS advertisements on advertisement enga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induction, and to test the effect of new product innovation acceptance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20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who have experience making experimental products and seeing SNS advertisements, have electric vehicles, or are willing to purchase them within the next two to three yea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conomic messages and emotional visual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in inducing advertising engagement, and it was verified that messages and visual types for inducing advertising engagement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umer's acceptance of new products, and it was confirmed that advertising engagement affects the induction of purchase intention regardless of messages and visual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arly paper that presented the message and visual direction of electric vehicle advertisements that can be used in marketing research related to electric vehicles, especially in marketing practice,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an approach to reveal the direction of SNS advertisements according to consumers' innovation acceptance at a time when electric vehicles are rapidly spreading. These research results not onl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SNS advertising for electric vehicles, but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생성형 AI 광고에 관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연구 | 2024.11.06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광고 산업에서 새로운 페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 생성형 AI 광고가 등장하였다. 생성형 AI 광고는 기존 광고 방식에 비해 개인화된 메시지 전달과 창의적인 콘텐츠 생성을 통해 소비자의 관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광고가 국내 언론에서 어떻게 보도되고 있으며, 이 새로운 광고 형식이 초래할 주요 이슈와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빅카인즈에서 2022년 11월 30일(챗GPT 출시일)부터 2024년 4월 30일까지의 주요 신문 기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 감정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주요 토픽과 관련된 감정적 반응, 그리고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행된 본 연구는 생성형 AI 광고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생성형 AI 광고 관련 뉴스 기사들은 삼성전자, 구글 등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챗GPT, 데이터 활용, 네이버 와 카카오와 같은 플랫폼 기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토픽 비율 분포와 감정 분석 결과,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과 인공지능 관련 주제가 뉴스 보도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감정적 반응은 긍정적·부정적으로 다변화되 어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업’, ‘서비스’, ‘콘텐츠’, ‘기술’ 등의 키워드가 생성형 AI 광고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광고의 국내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전략을 도출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 With the recent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 new form of advertising, known as generative AI advertising, has emerged in the advertising industry. This change allows for the delivery of personalized messages compared to traditional advertising methods and has the potential to effectively capture consumer interest through the creation of creative cont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generative AI advertising is being reported in the media and to deeply analyze the major issues and changes that this new form of advertising may bring.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relevant articles from major newspapers on Big Kinds from November 30, 2022 (the release date of ChatGPT) to April 30, 2024 and analyzed the word cloud. In addition to word cloud analysis, techniques such as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sentiment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employ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opic. Additionally, the study performed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to identify major topics and document classific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ews articles on generative AI advertising cover a wide range of topics, from specific companies like Samsung and Google to AI, ChatGPT, data utilization, and platform companies like Naver and Kakao. Second, the distribution of topic ratios and sentiment analysis reveal that AI-related topics and platform companies like Naver and Kakao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news coverage, with emotional responses varying from positive to negative. Third,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such as ’advertising,’ ’generation,’ ’company,’ ‘service,’ ‘content,’ and ‘technology’ are closely related to generative AI advertising.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enerative AI advertising in Korea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applicable to this field.
프로축구 구단 SNS가 구단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2024.11.05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 구단 SNS의 주요 특성 및 팬의 선수, 구단, 리그에 대한 동일시가 구단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구단 SNS 특 성이 도시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동일시와 구단브랜드 자산의 이중 매개효과도 규명 하였다. 구단 SNS의 주요 특성으로는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이 도출되었다. 정보성은 구단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희성은 구단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상호작용성은 구단브랜드 자산에는 유의한 영 향이 없었지만, 도시브랜드 자산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 동일시는 도시브랜드 자 산에, 구단 및 리그 동일시는 구단과 도시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단 SNS 특성 인 정보성, 유희성, 상호작용성이 도시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동일시와 구단브랜드 자 산의 이중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단과 도시 브랜딩 차원에서 프 로축구 구단 SNS 채널의 효과적인 활성화 전략과 운영 방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수, 팀, 리그에 대한 팬의 관심을 높이는 데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football club social networking sites(SNS) and fan identification with players, clubs, and leagues on club and city brand equity. The simple and dual mediation effect of fan identification and club brand equity on the impact of club SNS characteristics were also investigat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lub SNS were identified as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interactivity. Among these, informative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club and city brand equity. Entertain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club or city brand equity, while interactivity significantly affected city brand equity only. Although player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brand equity, club and league identification positively influenced both club and city brand equity.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fan identification and club brand equity on the impact of club SNS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valid.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ies and management plans for professional football club SNS channels from the perspective of club and city branding. It also offers useful guidelines for increasing fan identification in players, teams, and leagues.
Habermas, J. (2023). A New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Politics (C. Cronin. Trans)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