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상장 제약회사의 경영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16 pages| 2025.11.07| 파일형태 :
조회 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정태적 DEA 모형은 비교대상이 되는 기업이 없거나 적절치 않은 경우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정태적 DEA 모형의 적용 결과 효율성이 1.0으로 양호하다고 측정된 기업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효율성 개선치를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동태적 분석기법 및 종단면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원리에 근거하면 단일 기업에 대하여 다수 시점간의 동태적 효율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함에 있어 DEA모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태적 효율성 비교에 주로 사용되어 온 DEA모형을 이용하여 단일 기업의 다수 시점별 투입·산출요소에 대한 동태적 효율성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실례 적용으로 국내 상장된 제약사를 대상으로 정태적 효율성 비교를 실시하고 효율적으로 평가된 기업에 대하여 동태적 효율성 비교를 실시하여 그 유용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37개의 국내 상장 제약사 전체에서 정태적 효율성이 1.0으로 평가된 2개사 중에서 1개사는 동태적 효율성에 양호하였으나, 1개사는 투입·산출요소에 대한 개선의 여 지를 발견하였다
#Data Envelopment Analysis#DEA#Dynamic Efficiency#Multiple Periods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