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탈리스트의 조기업적과시현상과 IPO 성과 분석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27 pages| 2025.11.07| 파일형태 :
조회 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최근 벤처금융의 중심으로 부상자고 있는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벤처캐패탈레스트의 조기업적과시현상(grandstanding)을 살펴봄으로써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벤처캐피탈리스트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로 IPO에 관여하고 있다. 우선 제3자 보증역할(certification role)에 따른 정보불균형 해소로 IFO의 초과수익를(AR) 폭을 줄이고 있으며. 또 하나는 적정시점보다 빠르게 IPO를 유도하는 벤처캐피탈릭스트의 조기업적과시현상(gandstanding)으로 내재가치보라 낮은 저가격으로 IPO를 유료함으로써 IPO의 초과수익를(AB)이 확대되는 현상이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캐피탈의 재원을 받은 기업이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에 비해 조기에 IPO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숙련도에 따른 IPO시기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미숙한 벤처캐피탈레스트가 다소 조기에 IPO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한편 벤체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의 IPO가 장기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우리 나라 IPO시장에서도 벤처캐페탈케스트의 조기업적과 시련상(grandstanding)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randstanding#KOSDAQ#performance of IPOs#venture capitalist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