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2 주류 소비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메조미디어] 2024 업종 분석 리포트 02. 화장품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자료요약
본 연구는 최근 벤처금융의 중심으로 부상자고 있는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벤처캐패탈레스트의 조기업적과시현상(grandstanding)을 살펴봄으로써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벤처캐피탈리스트는 두 가지 상반된 역할로 IPO에 관여하고 있다. 우선 제3자 보증역할(certification role)에 따른 정보불균형 해소로 IFO의 초과수익를(AR) 폭을 줄이고 있으며. 또 하나는 적정시점보다 빠르게 IPO를 유도하는 벤처캐피탈릭스트의 조기업적과시현상(gandstanding)으로 내재가치보라 낮은 저가격으로 IPO를 유료함으로써 IPO의 초과수익를(AB)이 확대되는 현상이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캐피탈의 재원을 받은 기업이 벤처캐피탈의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에 비해 조기에 IPO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벤처캐피탈리스트의 숙련도에 따른 IPO시기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미숙한 벤처캐피탈레스트가 다소 조기에 IPO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한편 벤체캐피탈의 지원을 받은 기업의 IPO가 장기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우리 나라 IPO시장에서도 벤처캐페탈케스트의 조기업적과 시련상(grandstanding)이 어느 정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randstanding#KOSDAQ#performance of IPOs#venture capitali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