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인터넷 뱅킹의 효율성 격차 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24 pages| 2025.11.07| 파일형태 :
조회 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DEA 모형을 채택하여 국내은행 인터넷 뱅킹의 생산구조상의 투입-산출물간 비효율성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은행을 ①인터넷 뱅킹 선발/후발은행, ②인터넷 뱅킹 고투자/저투자은행, ③인터넷 뱅킹 초기집중투자/분산투자은행, ④경영실적 우량/비우량은행 등 4가지 특성집단별로 구분하였다. 이를 특성집단별로 각각 고객측면과 은행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인테넷 뱅킹 선발/후발은행의 경우, 고객과 은행측면에서의 은행간 투입-산출구조상 효율성 격차는 선점효과에 의해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순수한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를 통해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②인터넷 뱅킹 고투자/저투자은행의 경우, 고객측면에서의 은행간 투입-산출구조상 효율성 격차는 경영자의 투자마인드효과에 의해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순수한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를 통해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③인터넷 뱅킹 초기집중투자/분산투자은행의 경우, 은행측면에서의 은행간 투입-산출구조상 효율성 격차는 경영자의 투자 마인드효과에 의해 규모의 효율성보다는 순수한 기술적 효율성의 격차를 통해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④경영실적 우량/비우량은행의 경우, 인터넷 뱅킹의 추진에 있어서 은행간 경영실적의 우열이 인터넷 뱅킹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마, 이러한 분석결과는 오프라인(off-line)에서의 생산구조와 인터넷 뱅킹의 생산구조가 근본적으로 독립적인 형태로 구분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경영실적 우량/비우량 은행 분류기준상의 측정오류에 의한 것인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EA#Internet banking#the efficiency of scale#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