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아이들의 거리 초상사진에 관한 연구
자료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내 사진 작업이 갖는 의의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일단, 내 작업은 길거리에서 아이들을 세워놓고 찍은 초상사진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내 작업이 특정한 인물 유형에 속하는 사람들을, 즉 여기서는 하나의 유형으로서의 어린이들을 사진으로 찍은 것이라고 이해하는, 소위 유형학적 접근을 거부한다 나는 사진 자체의 고유한 특성 및 내 작업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들뢰즈의 `차이의 존재론` 내지는 `사건의 존재론`을 채택한다. 사진의 발명 이래 많은 사람들은, 사진의 고유성이란, 소위 정확한 시각적 기록이라는 특성이라는 것과 이와는 반대의 방향에서 예술이고자 하는 지향이라는 것의 상호 갈등내지는 공존에 있는 것이라고 이해해 왔다. 반면에 내가 이해하는 바에 의하면, 사진의 고유성은 일정한 노출 시간 동안 사진기 앞에서 벌어진 `사건`을 이미지로 만들어 고정시키는 데에 있다.
필립 아리에스의 「아동의 탄생」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개념
디앤 아버스
사회학적 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