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차 SOUL의 혁신적인 제품전략 -소비자의 soul을 움직이다-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메조미디어] 미디어&마켓 리포트_24년 6월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나스미디어] 2024년 11월 Meta 협력광고, 이커머스 시장의 게임 체인저
- [메조미디어] 2025 디지털 미디어 마일스톤
- 미디어&마켓 리포트_25년 8월
- 2024년 6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 [인크로스]2025년 1월 미디어 이슈 리포트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36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다각화와 자본구조의 상호관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2단계최소자승법(2SL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첫째, 우리나라 기업은 다각화전략과 자본구조정책을 상호의존적으로 동시에 결정하기 때문에 정부가 다각화와 자본구조정책을 수립할 때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화 억제정책과 다각화를 억제하기 위한 재무구조정책을 상호 연계하여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기업들은 부채차입을 통해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규모가 클수록 다각화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채비율에 대해 다각화와 기업규모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관투자가지분율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기업가치에 대하여 다각화수준은 부(-)의 영향을 미치고, 부채비율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 대상기업을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과 비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의 경우에는 다각화와 자본구조 의사결정이 독립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30대 기업집단 소속기업의 경우에는 다각화와 자본구조 의사결정이 상호의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다각화와 자본구조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에서 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에 대해서는 다각화와 자본구조에 대한 정책을 독립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하고, 비30대 기업집단 소속 기업에 대해서는 다각화와 자본구조정책을 연계시켜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