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고립공포감 (Fear of Missing Out)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광고의 희소성 단서(scarcity cues)와 자기 고양 동기의 효과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학회 | 92 pages| 2024.09.09| 파일형태 :
조회 27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 간의 소통을 높이고 소속감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지만 때 로 이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중독되어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게 되거나, 다른 사람의 정보를 접하며 발생한 상향 비교로 인해 우울함이나 불안을 겪기도 한다. 더불어 다른 사람의 소 비를 관찰하는 것은 자신 또한 그와 같은 수준의 소비를 하고 싶다는 경쟁 심리를 유발하고, 자 신이 그 소비에서 배제되거나 기회를 얻지 못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를 고 립공포감(Fear of Missing Out; FOMO)이라고 한다. 소셜 미디어 속 정보에 대한 태도를 다룬 선 행 연구는 많지만,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상황이나 맥락에서 발생하는 경험을 다룬 연구는 많 지 않다. 따라서 이 현상이 소셜 미디어 광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사람 들은 고립공포감을 겪었을 때 인기 광고보다 희소성 광고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는 자기 고양 동기에 의해 설명되었다. 또한 희소성 광고를 제한된 기회와 독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독특성 광고 조건에서 자기 고양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소셜 미디어 이용 맥락에서 발생한 사회적 위협이 이용자의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끝으로 연구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소셜 미디어와 고립공포감(Fear of Missing Out; FOMO)
2) 광고 단서 효과: 인기 단서 vs. 희소성 단서
3) 자기 고양 동기의 매개효과
3. 가설 설정
4. 연구 1
1) 연구 방법
2) 연구 결과
5. 연구 2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6. 전체 논의
1) 연구 결과 요약
2)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
#소셜 미디어#정보#소셜 광고#광고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