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7월] 2025 상반기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결산
- 2025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플레이디] 2025 광고·마케팅 트렌드 전망 리포트
- [플레이디] [손해보험] 시장 변화에 기회 삼아 미래를 준비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생존 경쟁 시작
- [2025년 5월] MEDIA & MARKET ISSUE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5년 2분기 인터넷 노출형광고 결산보고
- [Case Study] Internet_쌤소나이트_하이시에라 런칭 캠페인/일동제약_비오비타 아기모델 선발 캠페인
- 2025년 8월 매체력 평가 리포트
자료요약
조직의 성과향상 및 혁신의 원천으로서 팀 창의성의 향상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팀 창의성의 영항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팀 창의성의 영향요인 중 팀 구성원의 지식수순의 다양성과 네트워크 구조-연결정도 중심성과 구조적 공백-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팀 창의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지식수준의 다양성 및 네트워크 구조 모두 팀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 관점에서는 팀의 네트워크 구조가 개인의 지식수준의 다양성 보다 팀 창의성의 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gent-Based Modeling#Individual Knowledge#Knowledge Diversity#Network Structure#Team Creativity#이전트기반 모델링#지식구조네트워크 구조#팀 창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