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린다는 것에 대하여
광고계동향 기사입력 2024.06.20 03:33 조회 157
글 ·그림 임태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제일기획
 
광고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기다려 주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 아니 그게 무슨 소리냐 광고는 크리에이티브한 일이다. 빡센 일이라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당당하게 기다리는 일이라고 하겠습니다. 광고에서 가장 잘해야 하는 일은 기다려주는 일이더라고요.
 
바쁘게 진행되는 광고 업무에서 뭘 기다려 줄 시간이 있나 싶겠지만 정신없이 진행되는 사이사이에 서로를 기다려주는 짧은 시간들이 존재합니다. 대행사가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시간, 제작이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시간, 감독님이 트리트먼트 할 시간처럼 말이죠. 프로세스 하나하나 넘어갈 때마다 잠깐 잠깐씩 호흡조절 하는 것처럼, 연극에서 단막이 끝나면 잠시 암전되는 시간이 있는 것처럼 그런 기다림의 시간들이 존재합니다.
 
그 기다림의 시간은 생각을 정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획파트가 전략을 세워 오티 방향을 정리하고 제작과 공유합니다. 제작이 아이디어를 내도록 기다려주는 시간 동안 다시 한번 점검을 하는 거죠. 이 방향이 맞는지, 놓친 건 없는지 잠시 여유를 가지고 체크하고 일정도 잘 점검하고. 제작도 마찬가지 일 겁니다. 감독님이 트리트먼트를 하는 동안 만들어낸 아이디어에 대해 점검하면서 한 템포 쉬는 거죠. 그런 기다리는 시간들의 총합이 광고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물론 그 기다리는 시간이 그렇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괜히 걱정돼서 잘하고 있는지 걱정도 해보고 혹시 놀고 있는게 아닌지 언제 되냐고 추궁하기도 하고. 혹시 내가 방향을 잘못짚어 줬나 불안하기도 하죠. 차분하게 기다려주는 일이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 CD 10년 차 정도 되다 보니 이제서야 조금 차분하게 기다리는 척은 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
 
근데 요즘은 그 기다려주면서 복기하는 시간들이 점점 짧아지고 있어 너무 아쉽습니다. 제작 방식이 디지털로 넘어가면서, 제품이나 서비스의 출시 일정들도 빨라지면서 전반적으로 모든 일정들이 타이트 해지고 있거든요. 아 
이디어를 내는 시간도 전략을 짜는 시간도 점점 짧아집니다. 덩달아 깊이 생각할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고요. 체감상 거의 두 배 정도 빨라지는 것 같네요. 이렇게 달리다가 번아웃이 오지 않을까, 뭔가 놓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점점 사라지는 기다리는 시간들
비단 광고 제작에 관한 얘기만은 아닌 거 같아요. 저 같은 아날로그 세대들이 보기엔 요즘은 전반적으로 ‘시간을 
내어 뭔가를 기다리는 시간’ 자체가 사라져 가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좋아하는 가수의 새 앨범이 나왔다고 해보죠. 요즘이야 “아 그래? 들어볼까?”라고 마음만 먹음 스트리밍 사이트에서 바로 들으면 되지만. 예전에는 그 앨범이 우리 동네 레코드 가게까지 들어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거든요. 몇 주를 기다려 손에 넣은 그 LP를 들고 집으로갈 때 느끼는 그 기분, 조심조심 먼지를 닦고 턴테이블에 소중하게 올려놓기 전 그 두근거림은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런 기다림들은 뭐랄까 위스키를 숙성… 아니다 너무 주정뱅이 같으니 다른 비유를 들어보죠. 음… 메인디시 전에 나오는 애피타이저 같은 게 아니었나 싶어요. 이 앨범은 어떤 곡으로 채워져 있을까. 속지에 리뷰는 누가 썼을까. 세션은 누가 했을까. 기다리는 시간 동안 잡지를 뒤져보기도 하고 음악 잘 아는 친구한테 귀 동냥도 듣고 하면서 점점 기대가 증폭되다가 듣게 될 때의 그 감동. 크… 그렇게 즐겼던 음악들은 몇십 년이 지나서 들어도 그때 그 느낌이 또렷하게 되살아나더라고요. 기대감에 물리적인 시간을 더하면 풍미가 생기는 그런 건가 봅니다. 숏폼 콘텐츠의 창궐로 도파민에 절여진 요즘 그런 두근거리는 기다림이 그리워지네요.

짧지만 반드시 필요한 시간들
어찌 되었건 줄어들고 있기는 하지만 광고를 하면서 만나는 소소한 기다림의 시간 들을 충실히 보냈으면 합니다. 기획이 피드백 정리하는 시간이라던가, 편집실 렌더링 기다리는 시간. 새벽 두 시쯤 컷이 바뀌고 조명 세팅하느라 걸리는 시간 같은 거 말이죠. 그 짧은 시간만이라도 담당자들이 편하게 해 낼 수 있도록 묵묵히 기다려주는 게 어떨까 합니다.
 
기다려 주면서 해야 하는 건 ‘믿어주는’ 일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만든 가이드가 틀리지 않았다고 믿고, 상대방이 잘할 거라고 믿어주고. 그 두 가지 믿음이 충분하다면 기다리는 시간이 즐거움이 되는 거 아닐까 싶네요.
 
점점 빨리 돌아가는 광고 프로세스를 보면 뭐랄까요? 애피타이저 없이 자리에 앉자마자 스테이크를 먹는 기분이랄까 암튼 요즘은 좀 그렇다는 늙은 광고인의 넋두리입니다.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에 내가 미리 가 너를 기다리는 동안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내 가슴에 쿵쿵거린다.

이렇게 시작하는 황지우 시인의 시가 있습니다. 구글링하면 1초 만에 나오겠지만 시간이 있으시다면 날도 좋은데 서점이나 도서관에 마실 가셔서 한번 찾아 읽어 보심이 어떠실까요?
 
adz ·  5/6월호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40살이 40살로 보이는 굴욕
글 정규영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씨세븐플래닝즈 日 꽃미남 기무라 타쿠야 안타까운 근황? 헤드라인이 던진 미끼를 덜컥 물고 포털 사이트의 기사를 읽어 내려갔다. 결론은 일본 대표 꽃미남이었던 배우 겸 가수 기무라 타쿠야(木村 拓哉)가 50대가 되어 아저씨 모습이 됐다는 이야기다. 하아-. 나도 모르게 짧은 한숨이 나왔다. ‘이 정도 대스타는 나이를 먹고 아저씨가 된 것만으로도 뉴스가 되는구나?’ 이런 마음도  짧게
[AD Information] 광고인들에게 추천하는 사이트
  방대한 양의 최신 해외광고를 만날 수 있는 곳 ADS OF THE WORLD » http://adsoftheworld.com/   ‘Ads of the world’는 미디어 정보 사이트 Media Bistro가 운영하는 광고 아카이브 블로그다. 매일 전 세계의 최신 광고가 업로드되어 지금까지 게시된 광고의 양이 매우 방대하다. Forum 게시판에 광고를 올리면 전 세계의 사이트 이용자들과 함께 해당 광고
불확실성의 시대, 달라지는 소비 패턴
엔데믹 시대로 접어든 2023년과 2024년 상반기는 예상외의 전쟁, 경제와 기후위기 등으로부터 촉발된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불확실성은 예상 가능한 범위 밖의 상황을 말하며 위기를 동반한다.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