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 발전소 ] 개와 고양이와 신
HS Ad 기사입력 2011.04.25 11:49 조회 5936









글 ㅣ 조원희 (영화감독)



“개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 줘. 그러니까 그는 나의 신이야.’
고양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먹여 줘. 그러니까 나는 그의 신이야.’”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에 재미있는 부분이 있다. “개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 줘. 그러니까 그는 나의 신이야.’ 고양이는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은 나를 먹여 줘. 그러니까 나는 그의 신이야.’” 이 재치 있는 문장에는 두 가지의 중요한 상상력 유발 요소가 들어있다.

첫째, 인간이 아닌 동물이나 사물에게 인격을 부여하는 의인화의 상상력이 있다. 개나 고양이가 인간적인 감정으로 자신에게 제공되는 식사를 바라본다는 것은 이 이야기를 이루는 상상력의 근본적인 부분이다.

둘째, 그런 상상력을 더욱 강하게 만들 수 있는 중요한 부분,‘ 관찰에 의한 상상력’이 있다. 사료 봉지를 부스럭거리거나 사료를 준비하는 장소로 가기만 해도 벌써부터 꼬리를 흔들며 안달을 하는 개들의 습성, 그리고 주인이 자신의 그릇에 내려놓거나 주인이 음식을 자신에게 내밀 때까지 조용히 기다리는 고양이의 습성을 유심히 관찰하며 만들어낸 상상력인 것이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 <상상력 사전>
 
 
 
알아야 한다

인간이 자면서 꾸는 꿈은 대부분 현실에서 일어나기 힘든 일들이지만 사실은 대부분 본인이 겪은 혹은 목격한, 때로는 대리 체험한 장면들로 구성된다. 평생 화산 폭발을 하는 장면을 직접 본 적이 없는데 그것을 꿈으로 꾼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꿈을 꾸는 사람은‘ 화산이 때로 폭발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또한 화산이 폭발하는 장면을 화면이나 텍스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본 적이 있는 사람일 수밖에 없다. 화산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모르고 또한 그것이 폭발한다는 사실도 모르는 이들이 화산이 폭발하는 꿈을 꿀 수는 없다는 얘기다.

상상력의 출발은 꿈과 같다. 자신의 머릿속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상상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상상의 출발은‘ 목격’이다. 그리고 그 발전은 관찰이다.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J.M. 배리가 쓴 <피터 팬>은 영원히 나이 들지 않는 소년 피터, 요정 팅커벨 등 현실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산물들이 즐비하게 등장하는 판타지 소설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이전까지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본 적 없었던 J.M. 배리가 동네 미망인의 아들들을 만나고, 특히 그 중에서 막내인 피터와 가깝게 지내면서 만들어낸 이야기다. 어린이 피터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하며 노는지를 관찰해 소설 속의 피터를 만들어냈다. 이전까지는 어른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만 만드는 극작가였던 배리가 <피터 팬>을 상상해낼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소년 피터를 만났고 그 아이와 우정을 쌓으며 관찰할 수 있었기때문이다.
 

너무 깊이 알지 않아도 된다

‘실제와 다를 것을 두려워하는’ 강박관념은 상상력 역시 결박하는 경우도 많다. 영화<스타워즈>시리즈에는 물리학 법칙으로부터 몇 광년 떨어져 있는 수많은 장면들이 등장한다. 조지 루카스가 물리학적 원칙을 먼저 생각했다면 결코 만들어낼 수 없었을 이야기들이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무르익고, 펼치고 싶은 상상의 나래가 이미 필요한 만큼 펼쳐져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아직 그 분야의 전문가와 인터뷰를 하거나 자문을 구하지 않는 편이 좋다. 하고 싶은 이야기를 완전히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낸 실제 사실이나 전문적 지식들은 오히려 상상력을 펼치는 데 있어서 제약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취재를 통해 구성해야 할 다큐멘터리성 콘텐츠가 아니라면 전문분야 자문은 창작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J.M. 배리 작 <피터팬> / 조지 루카스 감독 <스타워즈`III>



'그의 자리'부터 바꿔보자

어느 날 인간이 눈으로 본 것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면 정말 놀라운 일일까? 그것은 단지 인간이 사진을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생긴 것 뿐이다. 카메라가 있다면 굳이 필요 없는 능력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인간이 눈으로 본 것을 자유롭게 변형하고 또한 편집해 출력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면? 인간은 이미 그런 능력은 갖추고 있다. 관찰한 것을 새롭게 변형하고 편집하는 능력은 결국 상상력으로 이어진다.

베르베르가 의인화를 했던 것처럼 사물을 새로운 자리에 배치하고 다른 자격을 부여하는 기초적인 상상력과 사물에 대한 깊은 관찰은 결국 뛰어난 상상력으로 무장한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HS애드 ·  HS Ad ·  상상력 ·  창의력 ·  크리에이티브 ·  베르나르베르베르 ·   ·  고양이 ·  상상력사전 ·   ·  피터팬 ·  조지루카스 ·  스타워즈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은반위의 돼지바 “정말 아름답습니다~”
2006년 월드컵 패러디 광고(임채무)로 돼지바 신드롬을 일으킨 데 이어 올해 돼지바 광고 역시 기대를 져버리지 않았다. 축구에 이어 이번엔 피겨스케이팅을 패러디했다. 모델은 전혀 의외의 인물인 예지원과 로버트 할리(한국명 : 하일). 피겨스케이트 경기 대회 출전한 선수와 코치를 패러디 한 광고에서 예지원은 선수로, 로버트 할리는 코치 역할을 맡았다. 선수로 등장한 예지원은 어려운 피겨스케이팅 동작을 보여주는데, 동작을 할 때마다 코믹한 표정으로 돼지바를 먹음직스럽게 먹는다.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월간 2025밈] 08월 편 - 지금부터 밈집 시작할테니까 댓글 좀 예쁘게 써줘.
  • AI or REAL  • 우리 애 자랑 좀 할게요 • AI 캐릭터 만들기 • 관세청의 가나디들  • 퇴근길=하룰라라? 출근길=저숭라라? • 영국 생활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명예 영국인 백진경  • 캠페인 소개   AI or REAL   지난달 소개해드린 07월 밈집의 내용 중 하나인 AI ASMR, 일명
[월간 2023밈] 08월 편 - 그런날 있잖아 폭룡적 더위에 미칠 것 같은 날...
HS애드 광고 완전 폭룡적이다 MZ사진 그런날 있잖아... YCC에 참가하고 싶은 그런날... 기특해 죽겠어 복복복 유병재에게 질문을